재무관리는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됩니다. 넓은 의미의 재무관리는 기업이나 증권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며,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떠한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재무경제학 또는 재무학이라고도 합니다. 기업 재무는 좁은 의미의 재무관리를 말하며, 기업가치의 극대화라는 기업의 경영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제반 재무의사결정을 다룹니다.
재무관리의 개념
재무관리의 넓은 의미로는 크게 기업 재무와 투자론으로 나뉩니다. 재무관리의 주요 분석대상은 기업이며, 기업 재무에서 다루는 재무의사결정으로는 기업의 투자의사결정, 자본조달 및 배당 의사결정, 기업의 지배구조와 인수합병 유동자산이나 고정자산의 관리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투자로는 주로 증권시장 자체를 분석하고 증권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는가를 연구하는 분야로서 증권시장은 기업이나 정부, 지방자치단체, 기타 조직이 발행해서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시장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만나는 시장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기업 재무와 투자로는 매우 다른 분야처럼 느껴질지도 모르지만 실제로는 동일한 원리에 의해 분석됩니다. 기업 재무의 분석 대상인 기업이나 투자론의 분석 대상인 증권 가치는 기업이나 증권에 투자함으로써 얻어지는 미래의 현금흐름에 의해 결정됩니다. 예를 들면, 공장을 건설할 때 그 공장으로부터 발생할 미래의 현금흐름을 평가해서 투자의사결정을 하게 됩니다. 증권 투자를 할 때도 증권으로부터 발생할 미래의 현금흐름을 평가해서 투자의사결정을 하게 됩니다.
재무 경영자(CFO)의 의사결정
1. 배당 의사결정: 기업은 영업 활동을 통해 얻어진 현금을 사업에 재투자하거나 주주에게 배당하게 됩니다. 재무 경영자는 경영성과 미래의 투자기회를 감안해서 얼마만큼 재투자하고, 얼마만큼의 주주에게 배당으로 지급해야 기업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지를 결정해야 하는데, 이를 배당 의사결정이라고 합니다.
2. 투자의사결정: 일반 기업의 재무 경영자는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어떤 자산에 얼마를 투자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하며, 이러한 의사결정을 투자의사결정 또는 자본예산이라고 합니다. 투자의사결정은 최적의 자산 구성을 취하고자 하는 것이며 재무상태표의 차별에 나타나는 항목을 다루는 것으로 보면 됩니다. 실물투자뿐만 아니라 투자 목적으로 증권을 매입하거나 다른 기업을 인수하기 위해 자원을 배분하는 것도 투자의사결정에 해당합니다.
3. 자본조달의 결정: 아무리 좋은 투쟁만이 있더라도 투자할 자금이 없으면 기업 활동을 영위할 수 없습니다. 기업이 자금을 조달할 때는 주식을 발행해서 주주로부터 조달하는 것, 즉 자기 자본으로 조달하는 방법과 금융기관이나 채권 투자자 등 채권자로부터 차입하는 것, 즉 타인자본으로 조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재무 경영자는 두 방식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자기 자본과 타인자본의 구성을 최적화라는 의사결정을 수행해야 합니다. 이러한 자본조달에 관한 제반 의사결정을 자본조달 의사결정이라고 하며, 그 목표는 역시 기업가치의 극대화입니다.
4. 재무 분석: 재무관리의 목표는 기업가치의 극대화이기 때문에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는 적절한 자본 조달과 재무 구조의 변경이 이뤄지는지 판단하기 위해 재무 분석이 필요합니다. 재무 분석이란 기업의 현재 상태가 어떠하며, 문제점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을 말합니다. 시간과 비용의 절약을 위해서 흔히 재무제표 분석과 재무비율 분석을 수행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가회계 - 표준 원가란 무엇인가 (0) | 2022.11.07 |
---|---|
금융 지식 - 화폐의 시간가치와 이자율 (0) | 2022.11.07 |
경영지원팀이 알아야 할 업무지식 (2) - 관리회계의 분야 (0) | 2022.11.06 |
경영지원팀이 알아야 할 업무지식 - 관리회계 (0) | 2022.11.06 |
정부 지원 사업 - 정부 일자리 사업의 종류 (0) | 2022.11.05 |
댓글